본문 바로가기
OTT리뷰

로버트 오펜하이머, 보기전에 반드시 알고가야 할 기초상식 일생 요약/줄거리/등장인물/영화의 구조

by LEMOMGA 2023. 8. 23.
반응형

크리스토퍼 놀란의 8월 기대작, 오펜하이머. 개인적으로 저도 아주 기대하고 있었던 작품입니다. 

하지만 다소 난해한 구성과 연출에 다소 평이 갈리고 있는데요. 저도 미리 확인하고 가지 않았다면 어지러운 영상에 지루할 뻔 했다죠.

 

특히 과학영화라 생각하고 영화관에 갔지만 물리학적 이론은 물론이고 "공산당"에 관한 이슈가 다뤄지며 사상과 윤리에 관한 복합적인 갈등이 번갈아 나타나며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영화보기 전 최소한으로 알고가야 할 오펜하이머에 관하여 정리했습니다.

 

 


 

 

로버트 오펜하이머 J. Robert Oppenheimer의 일생

(1904년 4월 22일 - 1967년 2월 18일)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로, 20세기 중반에 핵무기의 개발과 사용과 관련된 원자폭탄의 개발 프로젝트인 "맨해튼 프로젝트"의 리더입니다.

 

핵무기가 일으킬 수 있는 인류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과 윤리적 고민 등으로 인해 Oppenheimer는 원자폭탄의 테스트와 사용에 대한 의문을 표출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원자폭탄이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되어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고 상처를 입은 후에는 그의 태도가 더 뚜렷해졌습니다.

 

출생과 교육

1904년 4월 22일, 뉴욕에서 태어났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이수하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이수했습니다. 이 때 양자역학과 양자역학의 수학적 기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학계와 연구

1927년부터 1947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양자역학, 양자전기역학, 고에너지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하여 핵실험과 원자력 연구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아이디어를 발전시켰습니다.

 

맨해튼 프로젝트

제2차 세계대전 중,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맨해튼 프로젝트의 과학적 리더로서 핵무기의 개발을 주도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원자폭탄의 개발과 함께 핵무기의 물리적 원리와 설계에 관한 연구를 포함했습니다.

 

후기와 영향

원자폭탄의 투하 후 일본에 대한 파괴력과 인간적인 비극을 목격한 후, Oppenheimer는 자신의 역할과 핵무기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1949년, 소련이 핵무기를 개발한 후, 미국도 핵무기 개발 경쟁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Oppenheimer는 핵무기의 생산과 사용을 관리하는 정부 기관의 과학적인 리더로서 활동했으나 1954년, 연방원자력위원회는 Oppenheimer의 보안 인증을 철회했습니다. 이 결정은 그의 과거 정치적 및 사회적 관련 활동 때문이었습니다.

 

마지막 기간

이후 Oppenheimer는 뉴스쿨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과학적 연구와 교육을 이어갔습니다.

1967년 2월 18일에 뉴 프린스턴병원에서 폐렴으로 사망했습니다.

 

오펜하이머가 핵무기를 반대하게 된 이유

윤리적 고려

핵무기의 개발과 사용이 인류에게 엄청난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은 Oppenheimer에게 큰 윤리적 고민을 유발했습니다. 맨해튼 프로젝트를 통해 원자폭탄의 엄청난 파괴력을 목격한 후, 그는 "나는 죽음의 신이 되어 살아있다"라는 명언을 남기며 자신의 내면적인 갈등을 표현했습니다.

 

사람들의 안전

Oppenheimer는 원자폭탄 테스트와 사용이 인구에게 미치는 건강상의 위험에 대해 우려했습니다. 그는 핵폭발로 인한 방사능 오염과 건강 문제를 경각심 있게 고려하였습니다.

 

국제적인 평화와 안정

Oppenheimer는 냉전 시대의 동안 미국과 소련 사이의 핵무기 경쟁이 전세계적인 안보와 국제적인 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핵전쟁의 위험과 양국 간의 긴장 상황이 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과학적 태도와 책임

Oppenheimer는 핵무기의 개발과 사용에 대한 과학자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더욱 심각하게 고민했습니다. 그는 과학자들이 과학적 지식을 인류의 이익을 위해 사용하되, 동시에 무기로써의 활용이나 파괴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억제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오펜하이머 등장인물/배우

킬리언 머피 - J. 로버트 오펜하이머

원자폭탄의 아버지

아일랜드 출신의 배우로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를 보여주는 배우입니다. 크리스토퍼 놀란이 오펜하이머의 페르소나로 다룬 배우이기도 합니다.

 

[그 외 킬리언 머피의 작품]

"28 Days Later" (2002): 좀비 아포칼립스를 다룬 영화에서 주인공을 맡아 좀비로 인한 세상의 변화와 생존을 연기했습니다.

"Inception" (2010):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작품으로, 꿈의 세계와 현실을 넘나드는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The Dark Knight" Trilogy (2005-2012): 크리스토퍼 놀란의 배트맨 삼부작에서 Dr. Jonathan Crane/스케어크로 역할로 출연하였습니다.

"Peaky Blinders" (2013-2019): 텔레비전 시리즈로, 길거리 무당으로서 범죄 패밀리를 이끄는 주인공 Thomas Shelby 역할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Dunkirk" (2017):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작품으로, 제2차 세계대전 중 발생한 덩케르크 대피 작전을 다루며 영국 해군 대위 역할을 연기했습니다.

"A Quiet Place Part II" (2021): 공포 스릴러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무서운 외계 생명체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에밀리 블런트 - 캐서린(키티)오펜하이머

식물학자로 오펜하이머 전에 3차례 결혼을 했던 인물이다. 오펜하이머의 절친한 친구이자 과학자

 

맷 데이먼 - 레슬리 그로브스 주니어

맨해튼 계획을 이끄는 대령. 미국 사령부인 펜타곤을 지은 책임자이기도 하다.

 

베니 샤프티 - 에드워드 텔러

수소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와 수소폭탄에 관하여 갈등을 일으킵니다.

 

루이스 스트로스

전 해군장교이자 미국의 원자력 협의회 초대의장으로 오펜하이머가 수소폭탄을 반대하자 그와 대립하게 됩니다.

 

케네스 니콜스

그로브스 장군의 직속 부관으로 종전 이후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스파이로 몰릴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딜런 아놀드 - 프랭크 오펜하이머

오펜하이머의 동생으로 공산당원이입니다.

 

플로렌스 퓨 - 장 태들록

공산주의자로 정후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스파이가 아니냐는 의심을 가지게된 이유

 

그 외 오펜하이머가 등장하는 영화

"Fat Man and Little Boy" (1989)

이 영화는 맨해튼 프로젝트를 다루는 작품으로, 폴 뉴먼(Paul Newman)이 J. Robert Oppenheimer 역으로 출연합니다. 영화는 원자폭탄의 개발과 과학자들의 윤리적 갈등을 다루며, Oppenheimer의 역할과 고민을 중심으로 펼쳐집니다.

 

"Manhattan" (2014-2015)

이 드라마 시리즈는 맨해튼 프로젝트와 그 개발자들의 삶을 다루며, Oppenheimer는 John Benjamin Hickey가 연기합니다. 시리즈는 과학, 정치, 인간관계 등을 다루며 그 당시의 시대적인 분위기를 그려냅니다.

 

"The Day After Trinity" (1981)

이 다큐멘터리는 Oppenheimer와 맨해튼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며, 이 프로젝트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개발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Oppenheimer의 생애와 그의 과학적 업적, 윤리적 고민 등을 다루는 중요한 작품입니다.

반응형